글
Windows CE 폰트관련 레지스트리
컴퓨터/PC
2009. 12. 5. 22:05
HKLM\SOFTWARE\Microsoft\FontLink\SkipTable
아래 Tahoma값에 005c라는 것이 보이는데, 의미는 Tahoma 폰트의 unicode 005c인 글꼴을 제낀다는 뜻입니다. 005c는 영문글꼴에서 역슬래시, 한글글꼴에서 원(화폐) 표시입니다. 그래서 이 값을 사용하면 역슬래시가 표시될 자리에 원(화폐)표시가 나타나고, 삭제하면 역슬래시가 나타납니다.
HKLM\SOFTWARE\Microsoft\FontLink\SystemLink
아래 폰트에 대한 정의 값들이 스트링으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면, Tahoma = \windows\gulim.ac3,Gulim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글꼴을 표시할 때 영문 폰트인 Tahoma(원래 폰트에는 한글이나 한문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로 정의된 부분에 한글이나 한문이 있으면 굴림체로 표시하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영문 폰트와 한글 폰트가 서로 엇갈리게 정의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을 잘 바꾸면 원하는 폰트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최대 3개의 글꼴파일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할 수 있습니다.
Tahoma = \windows\malgun.ttf,맑은 고딕;\windows\gulim.ac3,Gulim
이렇게 여러개 글꼴을 사용하는 경우는 순서대로 표현되는 것이 아니라, 가장많은 글꼴이 들어있는 글꼴파일을 우선적으로 참고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위의 예에서는 맑은 고딕이 아니라 굴림체가 표현된다는 의미입니다.(이 부분은 경험상 반만 맞고 반은 틀린 것 같지만)
HKLM\System\GDI\V1\FontAlias
이 부분은 HKLM\SOFTWARE\Microsoft\FontLink\SystemLink와 병행해서 pda 글꼴을 정의하는 곳입니다. 예를 들면 Arial:-14 = Tahoma:-12라는 스트링은 arial폰트 크기 14를 Tahoma폰트 12로 보여주어라는 의미입니다.
실제 맑은 고딕으로 바꾸는 사람들이 많은데, 맑은 고딕이 굴림체나 Tahoma에 비해 작은 글씨체이므로, 이 부분의 숫자를 수정(예: Arial:-14 = Tahoma:-13 또는 -14, 예: Arial:-14 = 맑은 고딕:-13 또는 -14)해야 외산 프로그램 등에서 글자가 작게 나오지 않고 정상적으로 나옵니다. 원래 pda에 존재하는 글꼴이 아닌 경우(예: 맑은 고딕)는 systemlink에서 먼저 정의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설정 부분 등에서 맑은 고딕으로 나오지 않은 부분도 여기에서 굴림, 굴림체, Gulim, Gulimche 등에 대한 정의(예: 굴림체:-9=맑은 고딕:-9)를 모두 하여야 맑은 고딕으로 표현됩니다. (주의: 저도 글자의 상대 크기는 정확히 알지 못합니다. 또한, 이렇게 해도 사용한 폰트에 따라 맑은 고딕 표현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HKLM\System\GDI\SYSFNT
HKLM\System\GWE\Menu\BarFnt
HKLM\System\GWE\Menu\PopFnt
각각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폰트, 바에 표시된 글자에 대한 폰트, 팝업창에 사용되는 폰트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기본값은 Tahoma이고 폰트 높이가 10진수로 900이고 가로 넓이가 10진수로 400입니다.
HKLM\System\GWE\Button
버튼에 사용되는 폰트를 정의하는 것으로 아래 Fontweight라는 dword값이 폰트의 가로 넓이를 정의하는 값입니다. 기본값은 10진수로 700입니다.
HKLM\System\GWE\OOMFnt
몇몇 프로그램 사용하다 보면 메모리 부족(out of memory) 메시지가 뜰때 사용되는 폰트입니다.